한한령 관련주 대장주 TOP 5: 콕 집어 알려드림

한한령은 중국의 한류 제한 정책으로, 국내 엔터, 화장품, 여행, 면세업계에 큰 파장을 끼치던 이슈입니다. 최근 해제 기대감이 현실화되며 국내 상장사들의 중국 진출/소비주가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.

지금부터 한한령 관련주, 대장주, 테마주, 수혜주를 살펴봅니다.

1. 한한령 관련주 TOP5

종목명 업종
✔️YG PLUS 엔터테인먼트
✔️에이스토리 콘텐츠·드라마 제작
✔️HB엔터테인먼트 종합 엔터테인먼트
✔️케이씨씨글라스 중국소비·인테리어
✔️토니모리 화장품

 

2. YG PLUS

종목분석

 

YG PLUS는 YG엔터테인먼트 산하로, 음반·유통·IP 라이선스 및 MD, 온라인 플랫폼 사업까지 폭넓은 엔터테인먼트 포트폴리오를 갖는 대장주입니다.

  • 시가 총액: 4,000억 원대
  • 시총 순위: 180위권 내
  • 업종 상세: 음반유통, 음악플랫폼, IP·MD 등
  • 종목코드: ✔️037270

관련성

한한령 해제의 최대 수혜업종으로 블랙핑크, 위너 등 글로벌 인기 아티스트와 협업·판권 판매 재개, IP 확장 및 MD 증가 등 매출 모멘텀이 기대됩니다.

투자포인트

  • 중국 시장 IP·음반 판권 판매 정상화 가능성
  • 아티스트 공연·굿즈 엔터사업 이익 확대
  • R2M 등 음악서비스, 신규 온라인 플랫폼 사업

리스크

  • 중국 정책 환경 변화·판권 통제 불확실성
  • 엔터시장 성장 동력 단기 둔화 가능
  • 중국전용 신규 IP 구축·관리 비용 증가

 

3. 에이스토리

종목분석

 

에이스토리는 드라마·콘텐츠 제작 대장주로, 판권 판매, 글로벌 OTT·중국 시장 IP 수출에 강점이 있습니다. 킹덤,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대작을 제작했습니다.

  • 시가 총액: 7,000억 원대
  • 시총 순위: 110위권 내
  • 업종 상세: 콘텐츠 제작·판권 유통·IP 사업
  • 종목코드: ✔️241840

관련성

한한령 해제 수혜주로, 중국 내 OTT 합작, 드라마 판권 판매 확대, 글로벌 판권 유통으로 실적 모멘텀이 큽니다.

투자포인트

  • 중국 해외 판권 유통, 합작 제작 확대 기대
  • 웹툰·메타버스 등 부가 IP사업 진출
  • 신작 드라마 글로벌 흥행시 대규모 실적 급증

리스크

  • 중국시장 판권 통제, IP 침해 리스크
  • 제작비 상승, 원작 확보 경쟁 심화
  • 새로운 콘텐츠 트렌드 변화 대응 리스크

 

4. HB엔터테인먼트

종목분석

 

HB엔터테인먼트는 종합 엔터사로 드라마 및 예능제작, 국내외 IP 유통, OST 사업, 배우 매니지먼트까지 사업 포트폴리오가 넓습니다. 중국 진출을 겨냥한 합작 드라마·프로젝트도 가동하며 실적 견인 중입니다.

  • 시가 총액: 3,000억 원대
  • 시총 순위: 230위권 내
  • 업종 상세: 엔터·IP유통·OTT 협업
  • 종목코드: ✔️083660

관련성

합작 드라마·콘텐츠 판권·기획 프로젝트 등 한한령 해제시 추가 매출이 기대되는 진출 교두보 확장세가 두드러집니다.

투자포인트

  • 중국 엔터 합작·판권 매출 확장
  • 드라마·예능 IP 다각화
  • 아시아 글로벌 확장 포트폴리오 구축

리스크

  • IP 판권 관리·콘텐츠 소비환경 변화
  • 오프라인 콘서트·행사 연계 지연 시 매출 둔화
  • 배우/크리에이터 발굴·유지 난항

 

5. 케이씨씨글라스

종목분석

 

케이씨씨글라스는 중국 인테리어·리모델링 수요 증가에 힘입어, 유리·도장재 등 소비재 판매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. 중국 건자재 인허가, 대형 B2B 채널 공략에도 강점을 가집니다.

  • 시가 총액: 6,000억 원대
  • 시총 순위: 120위권 내
  • 업종 상세: 유리·건자재·리모델링
  • 종목코드: ✔️214370

관련성

주거용 인테리어 수요 확장, 중국 리모델링 시장 회복 세례와 신제품 라인업 확대로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

투자포인트

  • 중국 대형 재개발/리모델링 시장 진출
  • 수출·내수 투트랙 전략으로 안정적 성장
  • 건자재 신제품군 경쟁력

리스크

  • 경기변동, 부동산 정책 리스크
  • 중국 내 경쟁 심화
  • 글로벌 공급망 이슈

 

6. 토니모리

종목분석

 

토니모리는 중국 내 직영 판매·온라인 플랫폼 입점을 확대하고, 현지 전용 신제품 출시로 매출 성장세를 키우고 있습니다.

  • 시가 총액: 5,000억 원대
  • 시총 순위: 140위권 내
  • 업종 상세: 화장품·미용소비재
  • 종목코드: ✔️214450

관련성

면세점 유통망 복구, 중국 온라인 소비 확장, 로컬 신제품 효과로 한한령 해제의 최대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.

투자포인트

  • 중국 직영 채널/온라인 입점 성장
  • 면세점 매출 정상화, 해외 판로 개척
  • 중국 전용 신제품·마케팅 효과

리스크

  • 중국 화장품 트렌드 변화, 내수경기 리스크
  • 글로벌 저가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
  • 수출/환율 리스크

 

 

한한령 해제는 국내 소비주, 엔터, 화장품·콘텐츠 섹터의 실적과 시장 확장에 직접적인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. 다만 정책 변화와 현지 트렌드, 사업구조별 리스크를 꼼꼼히 살피는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.

 

한한령관련주

#한한령관련주식 #한한령관련주 #한한령대장주 #한한령테마주 #한한령수혜주

[위 내용은 투자 권유가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

다음 이전